안녕하세요. 2025년 민생회복지원금이 7월 21일 월요일부터 신청이 시작이 됩니다!
💰 **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민생회복지원금(소비쿠폰)**이 지급이
최소 15만 원, 최대 55만 원까지!
신청방법·일정·사용처 모두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1️⃣ 지급 대상 및 금액
전 국민 기본 지급: 1인당 15만 원
(단, 미성년 자녀(2007.1.1 이후 출생자)는 주민등록 상 세대주 명의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)
차상위계층·한부모가족: 30만 원
기초생활수급자: 40만 원
지역별 추가:
비수도권 거주자 +3만 원 (서울, 경기, 인천을 제외한 모든 지역)
농어촌 인구감소지역 거주자 +5만 원
경기 | 가평군, 연천군 |
인천 | 강화군, 옹진군 |
강원 | 고성군, 삼척시, 양구군, 양양군, 영월군, 정선군, 철원군, 태백시, 평창군, 홍천군, 화천군, 횡성군 |
충북 | 괴산군, 단양군, 보은군, 영동군, 옥천군, 제천 |
충남 | 공주시, 금산군, 논산시, 보령시, 부여군, 서천군, 예산군, 청양군, 태안군 |
전북 | 고창군, 김제시, 남원시, 무주군, 부안군, 순창군, 임실군, 장수군, 정읍시, 전안군 |
전남 | 강진군, 고흥군, 곡성군, 구례군, 담양군, 보성군, 신안군, 영광군, 영암군, 완도군, 장성군, 장흥군, 진도군, 함평군, 해남군, 화순군 |
경북 | 고령군, 문경시, 봉화군, 상주시, 성주군, 안동시, 영덕군, 영양군, 영주시, 영쳔시, 울릉군, 울진군, 의성군, 청도군, 청송군 |
경남 | 거창군, 고성군, 남해군, 밀양시, 산청군, 의령군, 창녕군,하동군, 함안군, 함양군, 합천군 |
대구 | 남구 서구 군위군 |
행정안전부> 업무안내> 지방재정경제실> 민생회복 소비쿠폰
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.
www.mois.go.kr
2차 추가 지급: 소득 상위 10% 제외한 90% 대상 10만 원 추가
(소득 상위 10%은 일반적으로 건강보혐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.)
건강보험료 | |
직장가입자 | 월 27만원 이상 납부하는 경우, 연봉으로 환산했을 때 대략 7,700만 원 이상의 소득을 가진 경우 |
지역가입자 | 월 20만원 이상 납부하는 경우 |
종합소득 | 개인의 소득은 근로소득 외에도 이자, 배당, 사업, 연금, 기타 등을 모두 합산하여 계산됨 |
* 참고사항 : 위에 언급된 금액은 일반적인 기준이고,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예)
일반 국민 → 15만 원
일반 국민 + 비수도권 거주 → 18만 원
차상위층 + 농어촌 거주 → 40만 원
일반 국민 + 비수도권 + 2차 → 28만 원
* 만약, 내가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지, 살고있는 지역이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인지 모르겠다면!
지급 금액을 사전에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!
7월 14일부터 네이버앱 · 카카오톡 · 토스 등 17개 모바일 앱 또는 국민비서 홈페이지(https://ips.go.kr)에서
민생회복 소비쿠폰 알림 서비스를 사전 요청하시면,
지급 신청일(7.21) 이틀 전인 7월 19일에 지급 금액, 신청방법, 사용기한 등을 사전에 안내해드린답니다! :)
꼭 이용해보세요~
외국인도 신청할 수 있나요? | 원칙적으로는 대상에서 제외하지만, 내국인과 연관성이 있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지급대상에 포함하고 있다고해요! 1. 외국인이 내국인 1인 이상 포함된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어있고, 국민과 동일한 건강보험 가입자, 피부양자, 의료급여 수급자인 경우에는 신청할 수 있습니다. 2. 외국인만 구성된 가족이라도 영주권자, 결혼이민자, 난민인정자가 건강보혐, 피부양자, 의료급 수급자인 경우에는 신청할 수 있습니다. |
해외에 체류중인 국민인 경우에도 신청할 수 있나요? | 해외에 체류중이던 국민이 6월 18일(수)부터 9월 12일(금) 사이에 귀국을 했다면, 출입국사실 확인 및 이의신청을 거쳐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 |
온라인으로 카드를 신청을 할 수 없는 경우, 고령자 ·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하실 경우에는 어떻게 신청해야 될까요? | 주민센터를 방문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자치단체에서 '찾아가는 신청'을 전화로 요청 할 수 있습니다. |
2️⃣ 신청·지급 일정
1차 신청·지급 2025. 7.21.(월) 09:00 ~ 9.12.(금) 18:00 온라인 24시간, 오프라인 평일 9~18시)
요일제(7월21일 월요일 ~ 7월 25일 금요일 첫 주)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|
||||||
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 일 |
1·6 | 2·7 | 3·8 | 4·9 | 5·0 | 출생연도 상관없이 온라인 신청 가능 |
첫 주가 지나면 요일과 상관없이 신청이 가능합니다.
2차 신청·지급 2025. 9.22.(월) ~ 10.31.(금) 소득 선별 후 진행
사용 기한 ~ 2025.11.30.(일)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
3️⃣ 어떻게 신청할까?
✅ 온라인
카드형/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: 지자체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신청
신용·체크카드: 카드사 홈페이지·앱·콜센터·ARS에서 신청
사전 알림 서비스 활용: 토스·국민비서 등에서 미리 안내받고 신청 가능
✅ 오프라인
지역사랑상품권(지류형) / 선불카드: 주민센터 방문
신용·체크카드: 제휴 은행 창구에서 신청 가능
**‘찾아가는 신청’**: 거동 불편자 대상 지자체 지원 서비스도 준비 중
4️⃣ 신청 팁 & 유의사항
신청 첫 주 요일제 필수 준수
**신청 후 다음 날 바로 지급, ARS 또는 문자 안내**
5️⃣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까?
사용처 제한: 지역 내 연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
전통시장, 동네마트, 음식점, 병원, 학원 등
사용 불가: 대형마트, 백화점, 유흥·사행업, 온라인 쇼핑몰, 배달 앱 등
사용 기간: 2025년 11월 30일까지. 기간 내 사용 권장!
환불 불가: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자동 소멸
6️⃣ 신청 A to Z 한눈에 정리
1. 7/21~9/12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신청
2. 요일제 확인 → 해당 요일에 신청
3. 신청 다음 날 지급 → 카드 충전 또는 상품권 발급
4. 지원금 사용 → 11/30까지, 지역 상점에서 소비
7️⃣ 더 스마트하게 쓰는 꿀팁!
- 사전 알림 신청 후 신청 준비 완료
- 소상공인 지원 의미로 지역 맛집·시장 우선 방문
- 고향사랑기부제와 함께 활용하면 세액공제 + 답례품 혜택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.
---
민생회복지원금 놓치지 말고 꼭 챙기세요!
7월 21일부터 신청 시작되니 캘린더에 꼭 표시하시고, 신청하세요~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tGPT 서비스 장애 보상, 이렇게 신청하세요! (0) | 2025.06.17 |
---|---|
여권 재발급 신청 방법의 모든것! (0) | 2024.07.08 |
고령자 운전면허 반납에 대해 한방에 정리! (0) | 2024.06.24 |
폐가전 무료수거, 폐기물 스티커 구매 및 다른 방법들까지 한방에 정리! (0) | 2023.11.08 |
비자 마스터카드 아멕스 유니온페이 JCB 차이 및 총 정리! (0) | 2023.10.03 |